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안녕하세요, 여러분! 최근 구제역 발생 소식으로 많은 분들이 불안해하고 계실 텐데요. 오늘은 구제역에 관해 가장 많이 질문하시는 내용들을 Q&A 형식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. 축산농가는 물론 일반 소비자 분들도 꼭 알아두시면 좋을 정보들이니 함께 살펴볼까요?

    🔍 구제역 기본 정보

    Q1 : 구제역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?

    A: 구제역(Foot-and-Mouth Disease, FMD)은 소, 돼지, 양, 염소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 동물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. 매우 전염성이 강하고 국제적으로 발생 시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하는 중요한 가축 전염병입니다.

    Q2 : 구제역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?

    A: 주요 증상으로는:

    • 입과 혀, 잇몸에 물집(수포) 형성
    • 발굽 사이와 젖꼭지에 물집 형성
    • 심한 침 흘림과 거품 형성
    • 절뚝거림, 먹이 섭취 거부
    • 발열(40℃ 이상)
    • 젖 생산량 급격한 감소
    • 어린 개체의 경우 심장근육 손상으로 인한 돌연사

    Q3 : 구제역은 어떻게 전파되나요?

    A: 구제역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전파됩니다:

    • 감염된 동물과의 직접 접촉
    • 오염된 차량, 사료, 기구 등을 통한 간접 접촉
    • 오염된 육류, 유제품 등 축산물 섭취
    • 공기를 통한 전파(바이러스가 최대 60km까지 이동 가능)
    • 사람의 옷이나 신발을 통한 전파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🧬 구제역과 인체 영향

    Q4 : 구제역은 사람에게도 전염되나요?

    A: 구제역은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므로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. 극히 드물게 감염된 동물과 밀접 접촉한 사람에게서 경미한 증상이 보고된 사례가 있으나, 일상생활에서 사람이 감염될 위험은 없습니다.

    Q5 : 구제역에 걸린 동물의 고기나 우유를 섭취해도 안전한가요?

    A: 구제역 바이러스는 열에 약해 조리 과정에서 대부분 사멸합니다. 그러나 구제역 발생 시 해당 농장의 모든 가축은 살처분 대상이 되어 시중에 유통되지 않으므로, 시중에서 판매되는 육류와 유제품은 안전하게 섭취하셔도 됩니다.

    Q6 : 구제역 발생 시 육류 가격은 어떻게 변하나요?

    A: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으로 공급량이 감소하여 단기적으로 육류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 2010-2011년 구제역 발생 시 돼지고기 가격은 최대 30%까지 상승했습니다.

    🔬 구제역 진단 및 검사

     

    Q7 : 구제역은 어떻게 진단하나요?

    A: 구제역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:

    • 임상 증상 관찰
    • 바이러스 분리 검사: 수포액, 상피조직 등에서 바이러스 검출
    • 항원 검출 ELISA 검사
    • RT-PCR 검사: 유전자 검출
    • 항체 검사: 감염 이력 확인

    Q8 : 구제역 검사는 얼마나 빨리 결과가 나오나요?

    A: 신속진단키트를 사용할 경우 약 15-30분 내에 현장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정밀검사(RT-PCR)의 경우 6-24시간 내에 결과가 나옵니다. 확정 진단은 48시간 이내에 이루어집니다.

    💉 구제역 예방 및 백신

    Q9 : 구제역 백신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?

    A: 구제역 백신은 크게 불활화 백신과 재조합 백신으로 나뉩니다. 한국에서는 주로 O형, A형 등 다양한 혈청형을 포함한 다가 불활화 백신을 사용합니다.

    Q10 : 백신 접종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?

    A: 소의 경우 6개월마다, 돼지의 경우 임신돈은 분만 2-4주 전, 비육돈은 2개월령에 접종합니다. 국가별, 상황별로 접종 스케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검역당국의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.

    Q11 : 백신을 맞추면 100% 예방이 가능한가요?

    A: 백신의 예방 효과는 약 80-90% 정도로, 100% 완벽한 예방은 어렵습니다. 또한 바이러스의 변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어, 백신 접종과 함께 차단방역 조치를 병행해야 합니다.

    Q12 : 왜 일부 국가는 백신 접종을 하지 않나요?

    A: 일부 국가(일본, 미국, 호주 등)는 백신 비접종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평상시 백신 접종을 하지 않고, 발생 시 살처분 정책을 시행합니다. 백신 비접종 청정국은 축산물 수출에 유리한 위치를 가지기 때문입니다.

    🌎 국제 기준 및 청정국 지위

    Q13 : 구제역 청정국이란 무엇인가요?

    A: 세계동물보건기구(OIE)는 구제역 상태에 따라 국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:

    • 백신 비접종 청정국: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고 백신도 접종하지 않는 국가
    • 백신 접종 청정국: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지만 예방을 위해 백신을 접종하는 국가
    • 구제역 발생국: 구제역이 발생한 국가

    Q14 : 청정국 지위는 어떻게 회복할 수 있나요?

    A: 백신 비접종 청정국 지위 회복을 위해서는 마지막 발생 후 백신 접종을 중단하고 최소 12개월이 경과해야 합니다. 백신 접종 청정국 지위는 마지막 발생 또는 마지막 백신 접종 후 최소 6개월이 경과해야 회복할 수 있습니다.

    Q15 : 구제역 발생이 국제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?

    A: 구제역 발생 시 해당 국가의 축산물 수출이 제한됩니다. 특히 구제역 청정국으로의 수출이 중단되어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합니다. 2010-2011년 한국의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수출 손실은 약 3,000억 원에 달했습니다.

    🚨 구제역 발생 시 대응

    Q16 : 구제역 의심 증상 발견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    A: 즉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:

    • 가축질병 핫라인(1588-4060) 또는 관할 지자체에 신고
    • 농장 출입 통제 및 가축 이동 중지
    • 농장 내외 철저한 소독 실시
    • 다른 농장 방문 자제

    Q17 : 구제역 발생 시 살처분은 어떻게 진행되나요?

    A: 구제역 확진 시 발생 농장의 모든 감수성 동물(소, 돼지, 염소 등)은 살처분 대상이 됩니다. 또한 발생 농장 반경 3km 이내의 농장도 예방적 살처분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살처분은 인도적인 방법으로 진행되며, 농장주에게는 보상금이 지급됩니다.

    Q18 : 구제역 발생 시 이동제한은 어떻게 적용되나요?

    A: 발생 농장 반경 3km 이내는 보호지역, 3-10km는 예찰지역으로 설정되어 가축, 사람, 차량, 물품 등의 이동이 제한됩니다. 이동제한은 최소 3주 이상 유지되며, 추가 발생이 없을 경우 단계적으로 해제됩니다.

    🧪 구제역 연구 및 최신 동향

    Q19 : 구제역 바이러스는 몇 가지 유형이 있나요?

    A: 구제역 바이러스는 7개의 주요 혈청형(O, A, C, Asia 1, SAT 1, SAT 2, SAT 3)이 있으며, 각 혈청형 내에도 다양한 변이가 존재합니다. 특히 O형과 A형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.

    Q20 : 구제역 치료제는 없나요?

    A: 현재까지 구제역에 대한 특별한 치료제는 없습니다.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만 가능하며,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 일부 항바이러스제 연구가 진행 중이나 실용화되지 않았습니다.

    Q21 : 한국의 구제역 발생 이력은 어떻게 되나요?

    A: 한국은 2000년 이후 여러 차례 구제역이 발생했습니다:

    • 2000년: 최초 대규모 발생(15개 농장, 2,216두 살처분)
    • 2002년: 경기, 충청 지역 중심 발생(16개 농장, 약 16만두 살처분)
    • 2010-2011년: 전국적 대유행(6,241개 농장, 약 348만두 살처분)
    • 2014-2015년: O형 변이주 발생(185개 농장, 약 17만두 살처분)
    • 이후 산발적 발생이 계속되고 있음

    💼 경제적 영향 및 보상

    Q22 : 구제역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요?

    A: 2010-2011년 한국의 구제역 발생 시 총 피해액은 약 4조 6,683억 원으로 추산됩니다:

    • 직접 피해(살처분 보상금, 방역비용 등): 2조 7,383억 원
    • 간접 피해(생산 감소, 가격 변동, 수출 중단 등): 1조 9,300억 원

    Q23 : 살처분된 가축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?

    A: 살처분된 가축에 대해서는 시장가격의 100%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방역 수칙을 위반한 경우에는 감액될 수 있습니다. 보상금은 국비 70%, 지방비 30%의 비율로 부담하며, 농가는 구제역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